당시 정세

당시 정세

1919년 3․1운동 이후 일본 제국주의는 이른바 ‘문화통치’라는 이름으로 유화정책을 폈다. 민간신문사 설립 허가 등을 통해 민족 지도자들의 움직임을 제도권 속에 놓고 통제를 가했다. 여기에다 일본은 지도급 인사들에게 금전이나 높은 관직을 당근으로 주었다. 일제의 간교한 분열책이었다. 사상적 대립현상이 격화하면서 독립운동세력은 민족주의계와 사회주의계로 분열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표면적으론 독립운동의 침체기였다.

12
1

그러한 침체기에도 청년 학생들의 물밑 움직임은 계속됐다. 일제는 1922년 12월 동화정책의 일환으로 2차 ‘조선교육령’을 통해 국내 학제를 일본 학제와 동일하게 만들었다. 교육령에 따라 각급 학교는 일본어와 일본 역사를 가르쳐야 했다. 민족사상을 일본화 또는 말살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하지만 일제의 술책은 청년학생들에게 먹혀 들어가지 않았다. 학생들은 문화 계몽운동, 식민교육 배척운동 등을 폈다. 당시 학생들은 사상적인 면에서 민족주의뿐 아니라 사회주의 사상도 민족운동의 방략으로 인정하며 상호 협조하고 포용하였다. 어른들과는 달랐다. 1920년 5월 조직된 민족주의 성향의 조선학생대회는 친목단결, 조선 물산의 장려 등 교양적이고 계몽적인 활동을 폈다. 1924년 9월 조선학생총연합회, 1925년 5월 조선공학회와 9월 조선학생과학연구회 등 사회주의 성향의 학생단체가 차례로 등장했다.

국제적으로는 중국에서 1924년 일본에 대항하기 위해 국민당과 공산당의 이른바 ‘1차 국공합작’이 이루어지는 등 이념을 뛰어넘어 제국주의에 대항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있었다. 당시 도산 안창호 선생 등 민족주의 세력과 조선공산당 세력 내부에서도 힘을 모우기 위한 논의가 있었다.

14
1000